공부

속담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자

자이오엔 킴♥︎ 2024. 5. 23. 20:01

속담의 기원

 

속담은 민족의 집체창작으로서 구전문학상 주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속담은 민족의 집체적 지혜의 의하여 사람들의 생활속 에서 창조되었다.여러 형태들 중에서 가장 짧은 형식으로서 몇개의 단어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문장이나 불완전한 문장으로 표현되며 간결성, 함축성, 형상성을 기본특성으로 한다.

 

속담의 여러가지 세대의 응용

 

민간에서는 속담을 '옛말'이라고 하여 선배들의 생활의 경험과 교훈으 로 후배 사람들을 가르치는 생활의 진리로 여겨왔다. 옛 문헌들에는 속담에 대하여 속담, 격언, 이언 등과 함께 속어, 속, 속 언, 이담, 방언, 비언, 금언 등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 있다. 여러 가지 표현은 오늘 속담과 격언, 이언으로 정착되었다.속담은 현실적 기능에 따라 격언과 이연의 두 형태로 구분된다. 격언은 생활의 진리와 교훈을 가르치는 짧은 딸이며, 이언은 어떤 사실을 비유하고 형용하는데 대신 쓰이는 짧은 말이다. 격언과 이언은 문장구조에서 일정하게 구별된다. 격언은 생활의 경험과 사회 역사적 견해의 결론이 정식화된 것으로서 실천적인 규범형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격언은 그 자체로 독립할 수 있는 완전한 문장을 이루고 있으며 일정한 교양적, 교훈적 목적을 추구하는 주제를 가진다. 이언은 현실을 비유하는데 쓰이며 직접적으로 그 자체로써 교훈을 주거나 교양적 목적을 가지지 않으며 대체로 완전한 문장을이루지 못한다.중세기에 창조된 속담은 체계화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중세기의 문헌들은 그 당시에 사용되었던 속담들을 적 지 않게 전하고 있다. 옛날부터 전해오는 속담들이 기록되어 있는 가장 오랜 현존문헌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이다. 『삼국사기』의 '온달이야기'에서 나오는 "한말의 곡식도 찢어서 함께 먹을 수 있고 한자의 베도 기워서 같이 입을 수 있다"는 속담은 가난한 생활 속에서 서로 돕고 의지하며 살아나가는 과정에 체험한 생활의 교훈이었다.

 

속담의 첫 창조시기

 

발해 및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이르러 속담은 더 많이 창조되었으며 여러 가지 주제에 걸쳐 풍부화 되었다. 발해사람들 이 창조한 속담 '발해사람 셋이면 범 한 마리를 당한다', 고려시대 '위암전에 대한 평론'에서 인용한 숙달 "원수의 말을 어찌 말 으라"와 같은 속담들은 반침략투쟁에서 창조된 것으로서 그 시대상을 뚜렷이 하고 있다.

 

조선시대 속담 이어서

 

조선시대에도 속담이 많이 창조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속담들이 정리되고 문헌에 정착되어 널리 전승되었다.현존하는 자료에 의하면 속담에 대한 수집정리와 연구는 15세기 이후부터 진행되었다. 성현(1439~1504년)은 자기의 책 『용재총화』에 당시 쓰이던 속담을 수록하였는데 그는 여기서 같은 의미를 가진 속담들을 한데 묶어서 소개하였다.

 

17~18세기의 속담의 근황

 

성현의 뒤를 이어 어속권(16세기)은 자기의 책 패관잡기 에서 속담을 두 개의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동일적인 해석 을 주고 있다. 그는 '봄비가 자주 내린다', '돌담이 배가 부르다', '사발에 귀가 달렸다'. '늙은이가 건달부린다'. '어린애가 수다하 다', '중이 솔주점 한다' 등을 들고 '쓸모없는 일을 두고 하는 말'이라고 해석하였다.속담에 대한 목적 의식적이며 체계적인 수집정리와 연구사업은 17세기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홍만족의 뒤를 이어 18세기 전반기 이덕무(1741~1793년) 속담을 수집하여 자기의 책 청장관전서 예수록해 놓았다. 속담의 수집연구는 정약용(1762~1836년)에 의하여 크게 전진하였다.

 

출처:북한지역정보넷